문서의 이전 판입니다!
C:\Windows\system32> wsl.exe --install C:\Windows\system32> wsl -l -v //현재 사용하고 있는 WSL의 이름과 버전을 확인가능. NAME STATE VERSION Ubuntu-22.04 Running 1 C:\Windows\system32> wsl --set-version Ubuntu-22.04 2 //현재 사용하고 있는 WSL의 버전을 2로 변경. C:\Windows\system32> wsl -l -v //WSL의 버전 변경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VERSION이 2로 변경됨. NAME STATE VERSION Ubuntu-22.04 Running 2
hgkim@LAPTOP-266L93S4:~$ docker run -p 7100-7110:7100-7110/tcp -p 80:80 -p 8080:8080 -p 22:22 --privileged -d --name reins(생성될 컨테이너 이름) centos:7.9.2009(사용할 OS 이미지-없으면 자동으로 내려받음) /sbin/init //안하면 remote side unexpectedly closed network connection [Docker] Failed to get D-Bus connection: Operation not permitted 오류 발생 hgkim@LAPTOP-266L93S4:~$ docker exec -it reins(실행할 컨테이너 이름) /bin/bash
[root@60ecf6972a57 /]# yum update && yum install -y sudo [root@60ecf6972a57 /]# yum install net-tools [root@60ecf6972a57 /]# yum install -y libjpeg* libpng* freetype* gd-* gcc gcc-c++ gdbm-devel libtermcap-devel
[root@60ecf6972a57 /]# yum install firewalld //방화벽 설치 [root@60ecf6972a57 /]# sudo systemctl start firewalld //방화벽 실행 [root@60ecf6972a57 /]#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22/tcp //방화벽 포트 열기 [root@60ecf6972a57 /]#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80/tcp //방화벽 포트 열기 [root@60ecf6972a57 /]#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8080/tcp //방화벽 포트 열기 [root@60ecf6972a57 /]#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7100-7110/tcp //방화벽 포트 열기 [root@60ecf6972a57 /]# firewall-cmd --reload //방화벽 재시작 [root@60ecf6972a57 /]# firewall-cmd --list-port //방화벽 열려있는 포트 확인
[root@60ecf6972a57 /]# yum -y install openssh-server openssh-clients openssh-askpass //ssh 구동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 [root@60ecf6972a57 /]# systemctl restart sshd.service //서비스 재시작 [root@60ecf6972a57 /]# vi /etc/ssh/sshd_config //Port 22 : 이 부분 주석 해제 [root@60ecf6972a57 /]# systemctl start sshd.service //서비스 구동 [root@60ecf6972a57 /]# systemctl status sshd.service //서비스 상태확인
[root@60ecf6972a57 /]# passwd //putty를 통해 root 계정으로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 설정 [root@60ecf6972a57 /]# adduser hgkim //putty를 통해 유저 계정으로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 생성 [root@60ecf6972a57 /]# passwd hgkim //putty를 통해 유저 계정으로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 설정
login as: root root@192.168.xx.xxx's password: 입력 Login~~~... [root@60ecf6972a57 /]$ -mkdir /opt/search //search 디렉토리 생성
[root@60ecf6972a57 search]$ cd /opt/search/ //search 디렉토리로 이동 [root@60ecf6972a57 search]$ tar -zxvf 패키지이름.tar.gz //해당 디렉토리에 패키지 압축 해제 [root@60ecf6972a57 search]$ ln -sn RSA패키지풀네임 RSA //패키지에서 압축해제된 디렉토리를 심볼링크 명령어로 파일 이름을 간편하게 변경. [root@60ecf6972a57 search]$ ln -sn tomcat패키지풀네임 tomcat9 //패키지에서 압축해제된 디렉토리를 심볼링크 명령어로 파일 이름을 간편하게 변경. [root@60ecf6972a57 search]$ ln -sn java패키지풀네임 java8 //패키지에서 압축해제된 디렉토리를 심볼링크 명령어로 파일 이름을 간편하게 변경. [root@60ecf6972a57 search]$ chown -R hgkim:hgkim * //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을 hgkim 계정(유저 계정)이 사용할 수 있게 권한 변경.
INSTALL.PATH - ${RSA_ROOT}/ [root@60ecf6972a57 search]$ su - hgkim root계정에서 hgkim 계정(유저 계정)으로 전환. [hgkim@60ecf6972a57 /]$ vi /opt/search/RSA/INSTALL.PATH RSA디렉토리가 있는 경로로 설정 변경. ex)RSA디렉토리는 /opt/search/에 있으니 만약 경로가 /PROJECT/kigam../RSA 이런식으로 되어있을시 /opt/search/RSA로 변경. [hgkim@60ecf6972a57 /]$ cd /opt/search/RSA/bin RSA/bin디렉토리에서 변경해야할 파일이 많으므로 RSA/bin/디렉토리로 이동. [hgkim@60ecf6972a57 bin]$ vi dbSpider JAVA_HOME, RSS_ROOT, TOMCAT_HOME 경로 수정 필요. [hgkim@60ecf6972a57 bin]$ vi dbSpider JAVA_HOME, RSS_ROOT, TOMCAT_HOME 경로 수정 필요. [hgkim@60ecf6972a57 bin]$ vi dbSpider JAVA_HOME, RSS_ROOT, TOMCAT_HOME 경로 수정 필요. [hgkim@60ecf6972a57 bin]$ vi dbSpider JAVA_HOME, RSS_ROOT, TOMCAT_HOME 경로 수정 필요. [hgkim@60ecf6972a57 bin]$ vi dbSpider JAVA_HOME, RSS_ROOT, TOMCAT_HOME 경로 수정 필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