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java:java-lecture:2week

문서의 이전 판입니다!


자바 데이터 타입, 변수 그리고 배열

자바의 프리미티브 타입, 변수 그리고 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.

프리미티브 타입 종류와 값의 범위 그리고 기본 값


  •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값의 종류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숫자는 다시 정수와 실수로 나뉜다.
  • 기본형은 모두 8가지의 타입(자료형)이 있으며, 크게 논리형,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으로 구분된다.


타입 종류


  • 정수형은 가장 많이 사용되기에 타입이 4가지나 제공된다.
  • 각 타입별로 범위가 다르기에 범위에 맞는 값을 사용하면 된다.


타입 범위


  • boolean은 true와 false 두 값만 표현하면 되기에 1바이트면 충분하다.
    • 기본 값: false
  • char는 자바에서 유니코드(2 byte문자 체계)를 사용하기에 2byte
    • 기본 값: \u0000
  • byte는 크기가 1byte이므로 byte.
    • 기본 값: 0
  • int(4 byte)를 기준으로 짧게는 (2 byte) 길게는 (8 byte)를 취사선택한다.
    • 기본 값: 0
  • float은 실수값을 부동소수점(floating-point)방식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float
    • 기본 값: 0.0F
  • double은 float보다 두 배의 크기(8byte)를 갖기 때문에 double
    • 기본 값: 0.0


실수형의 정밀도


  • 실수형은 정수형과 저장 방식이 다르기에 같은 크기라도 훨씬 큰 값을 표현할 수는 있지만,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. 그래서 정밀도(precision)가 중요한데, 정밀도가 높을수록 오차의 범위가 줄어든다.
  • 위 표를 보면 float의 정밀도는 7자리로 10진수로 7자리의 수를 오차없이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. 그렇기에 사용할 변수의 값의 범위가 7자리를 넘는다면 정밀도를 고려해 double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.


프리미티브 타입과 레퍼런스 타입

리터럴

변수 선언 및 초기화하는 방법

변수의 스코프와 라이프타임

타입 변환, 캐스팅 그리고 타입 프로모션

1차 및 2차 배열 선언하기

타입 추론, var

Ref

/volume1/web/dokuwiki/data/attic/wiki/java/java-lecture/2week.1610069773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2/03/10 19:52 (바깥 편집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