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ggle theme
문제를 잘 정의하는 것은 문제를 절반 해결한 것이다. - 2023.12
사용자 도구
Toggle theme
로그인
사이트 도구
검색
도구
문서 보기
이전 판
PDF로 내보내기
Fold/unfold all
역링크
최근 바뀜
미디어 관리자
사이트맵
로그인
>
최근 바뀜
미디어 관리자
사이트맵
현재 위치:
start
»
wiki
»
javascript
»
javascript_note
»
마지막_문자_가져오기
wiki:javascript:javascript_note:마지막_문자_가져오기
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.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.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.
====== JavaScript 마지막 문자 가져오기 ====== <WRAP left notice 70%> * description : JavaScript 마지막 문자 가져오기 * author : 오션 * email : shlim@repia.com * lastupdate : 2022-11-09 Wed </WRAP> <WRAP clear></WRAP> \\ ====== JavaScript 마지막 문자 가져오기 ====== <code javascript> <!DOCTYPE html> <html lang="en"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 />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 /> <title>Fine and Delete Last String</title> </head> <body> <h1>JavaScript String Methods</h1> <p>Search a string and display the position of the match:</p> <p id="demo"></p> <script> let text = "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,#"; let n = text.slice(0, -1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, let n = text.slice(0, -2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 let n = text.substring(0, text.length - 1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, let n = text.substring(0, text.length - 2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 let n = text.substr(0, text.length - 1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, let n = text.substr(0, text.length - 2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 let n = text.replace(/#$/, ""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, let n = text.replace(/,#$/, ""); // #삼인행, 필유아사,#정신일도, 하사불성,#일체유심조 document.getElementById("demo").innerHTML = n; </script> </body> </html> </code> \\ \\ ====== JavaScript String slice() ====== ===== Definition and Usage ===== ''**%%slice()%%**'' 메소드는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합니다.\\ ''**%%slice()%%**'' 메소드는 추출된 부분을 새로운 문자열로 반환합니다.\\ ''**%%slice()%%**'' 메소드는 기존의(original) 문자열을 변경하지 않습니다.\\ start 파라미터와 end 파라미터는 추출할 문자열의 부분을 지정합니다.\\ 첫 번째 위치는 0, 두 번째 위치는 1,...의 순서입니다.\\ 음수(negative number)는 문자열의 끝부분부터 선택합니다.\\ ===== Syntax ===== <code javascript> string.slice(start, end) </code> ===== Parameters ===== ^ Parameter ^ Description ^ | start | 필수, 시작 위치(첫 번째 글자는 0) | | end | 선택, 종료 위치(포함하지는 않음), Default는 문자열의 길이 | ===== Return Value ===== ^ Type ^ Description ^ | A String | 문자열의 추출된 부분 | \\ \\ ====== JavaScript String substr() ====== ===== Definition and Usage ===== ''**%%substr()%%**'' 메소드는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합니다.\\ ''**%%substr()%%**'' 메소드는 지정된 위치에서 시작하고, 특정 개수의 문자를 반환합니다.\\ ''**%%substr()%%**'' 메소드는 기존의 문자열을 변경하지 않습니다.\\ 문자열의 끝부터 문자를 추출하려면, 음수(negative) 시작 위치를 사용하세요.\\ ===== Syntax ===== <code javascript> string.substr(start, length) </code> ===== Parameters ===== ^ Parameter ^ Description ^ | start | 필수.\\ 시작 위치, 첫 번째 문자는 인덱스가 0입니다.\\ 시작 위치가 문자열 길이보다 큰 경우, substr()은 ""을 반환합니다.\\ 시작 위치가 음수이면, substr()은 문자열의 끝부터 카운트합니다. | | length | 선택.\\ 추출할 문자의 개수.\\ 생략하면 문자열의 나머지를 추출합니다. | ===== Return Value ===== ^ Type ^ Description ^ | A string | 추출된 부분이 있는 문자열.\\ 길이가 0 또는 음수이면, 비어있는 문자열이 반환됨 | \\ \\ ====== JavaScript String substring() ====== ===== Definition and Usage ===== ''**%%substring()%%**'' 메소드는 문자열에서 두 인텍스(위치) 사이의 문자를 추출하고, 하위 문자열을 반환합니다.\\ ''**%%substring()%%**'' 메소드는 시작 위치부터 종료 위치까지의 문자들을 추출합니다.(종료 위치의 문자는 제외하고)\\ ''**%%substring()%%**'' 메소드는 기존 문자열을 변경하지 않습니다.\\ 시작 위치가 종료 위치보다 큰 경우, 인수(인자, arguments)는 변환됩니다: (4, 1) = (1, 4)\\ 0보다 작은 시작 값 또는 종료 값은 0으로 취급됩니다.\\ ===== Syntax ===== ^ Parameter ^ Description ^ | start | 필수.\\ 시작 위치.\\ 첫 번째 문자는 인텍스0에 있습니다. | | end | 선택.\\ 종료 위치(종료 위치의 문자는 제외)\\ 생략한 경우: 시작위치에서부터 문자열의 나머지 전부를 반환합니다) | ===== Return Value ===== ^ Type ^ Description ^ | A string | 추출된 문자들을 포함한 문자열 | {{tag>오션 Javascript 마지막_문자_가져오기}}
/volume1/web/dokuwiki/data/pages/wiki/javascript/javascript_note/마지막_문자_가져오기.txt
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3/01/13 18:44 (바깥 편집)
문서 도구
문서 보기
이전 판
역링크
PDF로 내보내기
Fold/unfold all
맨 위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