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user:emblim98:abbr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wiki:user:emblim98:abbr [2021/05/24 20:08]
emblim98
wiki:user:emblim98:abbr [2023/03/27 11:47] (현재)
emblim98
줄 1: 줄 1:
 ====== A ====== ====== A ======
  
 +==== ADR ====
 +   * Architecture Decision Records, 아키텍처 결정 기록
 +   *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의사 결정 과정을 문서로 기록하는 것.
 +\\
 ==== Ajax ==== ==== Ajax ====
    *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(에이씽크러너스 자바스크립트 엑스엠엘)    *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(에이씽크러너스 자바스크립트 엑스엠엘)
    *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비동기적으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기술    *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비동기적으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기술
 +\\
 ====API==== ====API====
    *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    *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
    * 애플리케이션(응용 프로그램)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, 운영체제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.     * 애플리케이션(응용 프로그램)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, 운영체제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. 
    * 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api/what-are-application-programming-interfaces|API(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)란 - 개념, 기능, 장점]]    * 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api/what-are-application-programming-interfaces|API(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)란 - 개념, 기능, 장점]]
-\\ 
 \\ \\
 ====== B ====== ====== B ======
줄 17: 줄 21:
    * 구현하기 복잡한 기능을 미리 개발된 API로 사용    * 구현하기 복잡한 기능을 미리 개발된 API로 사용
    * [[http://itwiki.kr/w/BaaS|BaaS]]    * [[http://itwiki.kr/w/BaaS|BaaS]]
 +\\
 +
 +==== BMS ====
 +  * Business Management Systems, 사업 관리 시스템
 +  * 사업전담기관들이 기관의 특성에 따라 수행하고 있는 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사업공고부터 사후관리까지 전주기 온라인 사업관리체계를 구축하고,
 +  * 사업비 관리, 장비 관리 등 연계 서비스 제공과 서식 표준화로 사업관리 기반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
 \\ \\
 ====== C ====== ====== C ======
줄 73: 줄 83:
    * 최고기술책임자    * 최고기술책임자
    * 회사의 기술개발 전체를 담당하는 총괄책임자    * 회사의 기술개발 전체를 담당하는 총괄책임자
-\\ 
 \\ \\
 ====== E ====== ====== E ======
줄 90: 줄 99:
    * 제조사 이름, 제품 유형, EDID 버전, 형광체나 필터 종류, 타이밍, 화면 크기, 휘도, 화소 등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습니다.     * 제조사 이름, 제품 유형, EDID 버전, 형광체나 필터 종류, 타이밍, 화면 크기, 휘도, 화소 등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습니다. 
 \\ \\
- 
 ====EOS==== ====EOS====
    * [End Of Sale}    * [End Of Sale}
    * 제조사(벤더)에서 제품에 대한 생산 및 판매 중단을 시작하는 날짜    * 제조사(벤더)에서 제품에 대한 생산 및 판매 중단을 시작하는 날짜
 +\\
 ====EOL==== ====EOL====
    * [End Of Life]    * [End Of Life]
    * 제조사(벤더)에서 제품에 대한 수명이 종료된 것을 말하며, 제품에 대한 마카텡, 유지보수 판매 등에 대한 지원을 일절 중단    * 제조사(벤더)에서 제품에 대한 수명이 종료된 것을 말하며, 제품에 대한 마카텡, 유지보수 판매 등에 대한 지원을 일절 중단
 +\\
  
 ==== ERD ==== ==== ERD ====
    * [Entity-Relationship Diagram]    * [Entity-Relationship Diagram]
    * 데이터 모델링 분야에서 개체-관계 모델이란 구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이다.     * 데이터 모델링 분야에서 개체-관계 모델이란 구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이다. 
 +\\
 +==== ERP ====
 +  * Enterprise Resource Planning, 전사적 자원 관리
 +  * 조직이 회계, 조달, 프로젝트 관리, 리스크 관리와 규정 준수, 공급망 운영 등 일상적인 비지니스 활동을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유형을 의
 \\ \\
 ==== ETL ==== ==== ETL ====
줄 110: 줄 122:
     * Load ( 적재 ) : 변환된 데이터를 새로운 테이블에 적재     * Load ( 적재 ) : 변환된 데이터를 새로운 테이블에 적재
 \\ \\
-\\+
 ====== F ====== ====== F ======
 ==== FaaS ==== ==== FaaS ====
줄 133: 줄 145:
  
 \\ \\
-\\+
 ====== G ====== ====== G ======
  
줄 156: 줄 168:
    -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반드시 공개 배포해야 한다.    -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반드시 공개 배포해야 한다.
    -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선스인 GPL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한다.    -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선스인 GPL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한다.
-  
-\\ 
 \\ \\
 +==== GS ====
 +  * Good Software
 +  * GS 인증: 소비자와 기업이 우수한 SW 제품을 보다 잘 믿고 쓸 수 있도록, 일련의 시험 테스트과정을 거쳐,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갖춘 SW 제품에게 국가가 부여하는 인증제도
 ====== I ====== ====== I ======
  
줄 171: 줄 184:
    * ISTQB 자격증은 비영리 국제 소프트웨어 테스팅 전문가 네트워크인 ISTQB에서 주관하는 국제자격증 프로그램    * ISTQB 자격증은 비영리 국제 소프트웨어 테스팅 전문가 네트워크인 ISTQB에서 주관하는 국제자격증 프로그램
    * Ref [[https://www.sten.or.kr/bbs/board.php?bo_table=sten_ist|ISTQB 국제 소프트웨어 테스팅 자격증]]    * Ref [[https://www.sten.or.kr/bbs/board.php?bo_table=sten_ist|ISTQB 국제 소프트웨어 테스팅 자격증]]
- 
-\\ 
 \\ \\
 ====== J ====== ====== J ======
줄 187: 줄 198:
    * 서버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형식은 XML, JSON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,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JSON을 사용한다.    * 서버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형식은 XML, JSON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,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JSON을 사용한다.
    * 데이터를 '키'와 '값'으로 표현해 놓은 표기법이다.     * 데이터를 '키'와 '값'으로 표현해 놓은 표기법이다. 
-\\ 
 \\ \\
 ====== K ====== ====== K ======
줄 213: 줄 223:
   * 하나의 키보드, 모니터, 마우스에 여러 대의 컴퓨터 본체를 연결한 뒤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 중 한대의 컴퓨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.    * 하나의 키보드, 모니터, 마우스에 여러 대의 컴퓨터 본체를 연결한 뒤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 중 한대의 컴퓨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. 
   * 정보 보안이 중요한 기관에서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여 이중으로 운영하는 경우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내부망에 접속하는 컴퓨터와 외부망에 접속하는 컴퓨터를 분리하여 이중으로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. 또한 정보 처리 양이 많아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경우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한 뒤 그 중 첫 번째 컴퓨터에 접속하여 하나의 작업을 지시한 뒤 해당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    * 정보 보안이 중요한 기관에서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여 이중으로 운영하는 경우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내부망에 접속하는 컴퓨터와 외부망에 접속하는 컴퓨터를 분리하여 이중으로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. 또한 정보 처리 양이 많아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경우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한 뒤 그 중 첫 번째 컴퓨터에 접속하여 하나의 작업을 지시한 뒤 해당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, KVM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 
 +\\
  
-\\ 
-\\ 
 ====== L ====== ====== L ======
  
줄 222: 줄 231:
    * 학습 관리 시스템    * 학습 관리 시스템
    * 학교 단위의 모든 교수학습 콘텐츠 및 교무학사관리 일체를 전산화해 교사-학생 혹은 교사끼리 일어나는 교수학습 활동들이 모두 탑재되어 전체 학생들 뿐 아니라 개개 학생의 학습발달 이력까지 모두 피드백되고 조회 가능한 웹기반 관리시스템입니다.     * 학교 단위의 모든 교수학습 콘텐츠 및 교무학사관리 일체를 전산화해 교사-학생 혹은 교사끼리 일어나는 교수학습 활동들이 모두 탑재되어 전체 학생들 뿐 아니라 개개 학생의 학습발달 이력까지 모두 피드백되고 조회 가능한 웹기반 관리시스템입니다. 
-\\ 
 \\ \\
 ====== M ====== ====== M ======
줄 284: 줄 292:
      * [[https://bsnippet.tistory.com/13|모델-뷰-컨트롤러(Model-View_Controller MVC)]]      * [[https://bsnippet.tistory.com/13|모델-뷰-컨트롤러(Model-View_Controller MVC)]]
      * [[https://m.blog.naver.com/jhc9639/220967034588|MVC 패턴이란]]      * [[https://m.blog.naver.com/jhc9639/220967034588|MVC 패턴이란]]
-\\ 
 \\ \\
 ====== N ====== ====== N ======
줄 326: 줄 333:
    * 전세계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있는 공개 저장소이다.    * 전세계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있는 공개 저장소이다.
    * [[https://www.npmjs.com/|npm-Build amazing things]]    * [[https://www.npmjs.com/|npm-Build amazing things]]
-\\ 
 \\ \\
 ====== O ====== ====== O ======
줄 347: 줄 353:
    * Open Source Software,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    * Open Source Software,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
    * 소스 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그 코드를 보고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만족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 통상 간략하게 오픈 소스라고 말하기도 한다.    * 소스 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그 코드를 보고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만족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 통상 간략하게 오픈 소스라고 말하기도 한다.
 +\\
 ==== OTT 서비스==== ==== OTT 서비스====
    * Over The Top 서비스    * Over The Top 서비스
줄 354: 줄 360:
      * 하지만 현재는 셋톱박스의 유무를 떠나, PC,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뿐만 아니라, 기존의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모두 포괄한 의미로 사용       * 하지만 현재는 셋톱박스의 유무를 떠나, PC,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뿐만 아니라, 기존의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모두 포괄한 의미로 사용 
      * OTT 서비스 이용자는 TV프로그램, 광고, 영화, UGC ( User Generated Contents ) 등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      * OTT 서비스 이용자는 TV프로그램, 광고, 영화, UGC ( User Generated Contents ) 등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
- 
-\\ 
 \\ \\
 ====== P ====== ====== P ======
줄 368: 줄 372:
    * 호스트 작동 여부 확인    * 호스트 작동 여부 확인
 \\ \\
 +
 +==== Plogging (플로깅) ====
 +  * 스웨덴어 '플로카 우프(Plocka Upp)' + 달리기를 뜻하는 '조깅(Jogging)'
 +  * 산책이나 조깅을 하면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의미
 +  * 스웨덴에서 2016년에 처음 시작
 +  * '쓰레기를 줍는 조깅'의 줄임말인 '줍깅'이라고 하기도 함
 +  * 등산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다는 '클린 하이킹(Clean Hikig)' 개념과 유사
 +  * 단순히 쓰레기를 줍는다는 환경보호 개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, 쓰레기 줍는 것을 건강을 단련하는 운동의 하나로 접근한다는 점이 플로깅의 핵심
 +
 +
 ==== PMBOK ==== ==== PMBOK ====
    *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,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바디 오브 날리지    *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,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바디 오브 날리지
줄 384: 줄 398:
    * 프로젝트경영(PM : Project Management) 분야의 자격증으로, 미국 PM 전문기관인 PMI가 시행하는 자격증    * 프로젝트경영(PM : Project Management) 분야의 자격증으로, 미국 PM 전문기관인 PMI가 시행하는 자격증
 \\ \\
 +
 +==== PMS ====
 +  * Project Management System, 연구 과제 관리 시스템
 +  * 정부 R&D 과제의 종합 정보 체계이다. 연구 과제의 사전 기획 정보, 협약 정보, 참여 연구원 정보 등이 담긴다. 
 +  * 과제가 시작된 후에는 집행. 진도 내역과 중간 평가 결과를 PMS로 관리한다. 과제 종료 후 연구 성과 활용 등 추적 조사에도 활용된다.
 +  * [[https://www.etnews.com/20180212000401|연구과제관리시스템(PMS) 하나로...'연구행정 효율화' 가속]]
 +\\
 +
 +
 ==== POC ====  ==== POC ==== 
    * 개념 증명(槪念證明, POC, Proof of Concept)    * 개념 증명(槪念證明, POC, Proof of Concept)
줄 391: 줄 414:
    * Publish On Demand [퍼블리시 온 디맨드]    * Publish On Demand [퍼블리시 온 디맨드]
    * 주문형 소량 출판    * 주문형 소량 출판
 +\\
 ==== PWA ==== ==== PWA ====
    * Progressive Web App [프로그레씨브 웹 앱]    * Progressive Web App [프로그레씨브 웹 앱]
    * 웹과 앱 모두에서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고안한 통합된 웹 기술    * 웹과 앱 모두에서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고안한 통합된 웹 기술
- 
-\\ 
 \\ \\
 ====== R ====== ====== R ======
  
 +==== R&I ====
 +   * Research and Innovation, 연구 혁신
 +\\
 ==== REPL ====  ==== REPL ==== 
    * [Read-Eval-Print Loop]    * [Read-Eval-Print Loop]
줄 411: 줄 435:
    *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    *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
    * 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api/what-is-a-rest-api|REST API (RESTful API, 레스트풀 API)란? 구현 및 사용법]]    * 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api/what-is-a-rest-api|REST API (RESTful API, 레스트풀 API)란? 구현 및 사용법]]
-\\ 
 \\ \\
 ====== S ====== ====== S ======
 +
 +==== SaaS ====
 +   * Software-as-a-Service
 +   *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기본 IT 인프라 및 플랫폼을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형태 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cloud-computing/what-is-saas|Saas란?]]
 +   *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제공 모델로,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유지 관리하고, 자동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고, 인터넷을 통해 Pay-as-you-Go 방식으로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.
 +
  
 ==== SASS ==== ==== SASS ====
줄 436: 줄 465:
    * 사이트가 검색 엔진 검색 결과(SERP, Search Engine Results Pages)에서 최대한 눈에 띄도록 SEO 작업 및 광고를 통한 인터넷 마케팅을 가리키는 용어로, 최근에는 비용이 발생하는 광고 마케팅 활동에만 국한하여 사용하고 있다.    * 사이트가 검색 엔진 검색 결과(SERP, Search Engine Results Pages)에서 최대한 눈에 띄도록 SEO 작업 및 광고를 통한 인터넷 마케팅을 가리키는 용어로, 최근에는 비용이 발생하는 광고 마케팅 활동에만 국한하여 사용하고 있다.
 \\ \\
 +==== SEMA ====
 +   * Korea Scientists & Engineers Mutual-aid Association, SEMA
 +   * 과학기술인공제회
 +   * 과학기술인에 대한 효율적 공제제도 확립을 통해 과학기술인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과학기술 활동의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이다.
 +
 ==== SI ==== ==== SI ====
    * [System Integration, 시스템 인티그레이션]    * [System Integration, 시스템 인티그레이션]
줄 444: 줄 478:
    * 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, SI 프로젝트의 결과로 구축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업무 수행    * 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, SI 프로젝트의 결과로 구축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업무 수행
 \\ \\
 +==== SP ====
 +  * Software Process
 +  * SP 인증 : SW기업 및 개발 조직의 SW 프로세스 품질 역량 수준을 심사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 
 ==== SPA ==== ==== SPA ====
    * Single Page Application,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    * Single Page Application,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
    * 단일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. SPA는 화면이동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사이드에서 HTML로 전달받지 않고(서버사이드 렌더링 X), 필요한 데이터만 서버로부터 JSON으로 전달받아 동적으로 렌더링한다.    * 단일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. SPA는 화면이동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사이드에서 HTML로 전달받지 않고(서버사이드 렌더링 X), 필요한 데이터만 서버로부터 JSON으로 전달받아 동적으로 렌더링한다.
    * [[https://velog.io/@josworks27/SPA-%EA%B0%9C%EB%85%90|SPA 기초 개념]]    * [[https://velog.io/@josworks27/SPA-%EA%B0%9C%EB%85%90|SPA 기초 개념]]
 +\\
 +==== SRE ====
 +   * Site Reliability Engineering,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링
 +   * 시스템, 서비시 및 제품에서 적절한 수준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분야
 +   * 서비스 인프라와 운영 관점의 문제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나온 개념
 +   * 주요 목표는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확보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.
 +   * [[https://techblog.woowahan.com/2716/|시스템 신뢰성 개발팀을 소개합니다]]
 \\ \\
 ==== SRP ==== ==== SRP ====
줄 457: 줄 501:
    * 보안 소켓 게층    * 보안 소켓 게층
 \\ \\
 +
 +==== SSR ====
 +   * Server Side Rendering
 +   * 처음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해설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, 서버에서 보여질 HTML을 미리 준비해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해주는 방식
 +
 ==== STT ==== ==== STT ====
    * Speech To Text    * Speech To Text
줄 463: 줄 512:
 ==== SWRL ==== ==== SWRL ====
    * Semantic Web Rule Language [씨맨틱 웹 룰 랭귀지]    * Semantic Web Rule Language [씨맨틱 웹 룰 랭귀지]
 +\\
  
-\\ 
-\\ 
 ====== T ====== ====== T ======
  
줄 492: 줄 540:
    * 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    * 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
    * CLI의 장점 대부분을 가져오면서 GUI의 꼭 필요한 장점들만 골라다 만든 인터페이스    * CLI의 장점 대부분을 가져오면서 GUI의 꼭 필요한 장점들만 골라다 만든 인터페이스
-\\ 
 \\ \\
 ====== U ====== ====== U ======
줄 511: 줄 558:
    * [Unified Modeling Language, 유니파이드 모델링 랭귀지]    * [Unified Modeling Language, 유니파이드 모델링 랭귀지]
    * 통합 모델링 언어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.     * 통합 모델링 언어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. 
-\\ 
 \\ \\
 ===== V ===== ===== V =====
 ==== VCS ==== ==== VCS ====
    * Version Control System : 버전 관리 시스템    * Version Control System : 버전 관리 시스템
-\\ 
 \\ \\
 ===== W ===== ===== W =====
줄 529: 줄 574:
    * 현재 주류 브라우저 개발업체인 4개 회사(애플, 구글, 마이크로소프트, 모질라)를 중심의 웹 기술 표준화 조직    * 현재 주류 브라우저 개발업체인 4개 회사(애플, 구글, 마이크로소프트, 모질라)를 중심의 웹 기술 표준화 조직
    * 개발된 표준에 버전을 명시하는 대신, 최신 기능 구현에 초점을 맞춰 끊임없이 변화하는 규격이란 의미에서 리빙(living) HTML이라 불리는 표준 개발 작업에 집중한다.     * 개발된 표준에 버전을 명시하는 대신, 최신 기능 구현에 초점을 맞춰 끊임없이 변화하는 규격이란 의미에서 리빙(living) HTML이라 불리는 표준 개발 작업에 집중한다. 
- 
-\\ 
 \\ \\
  
 {{tag>오션 abbr wordbook}} {{tag>오션 abbr wordbook}}
/volume1/web/dokuwiki/data/attic/wiki/user/emblim98/abbr.1621854534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2/03/10 19:52 (바깥 편집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