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|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|
wiki:pm:devops [2022/03/23 14:29] bjlee |
wiki:pm:devops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|---|---|---|---|
| 줄 1: | 줄 1: | ||
| - | ====== | + | ====== |
| <WRAP left notice 80%> | <WRAP left notice 80%> | ||
| * description : DevOps | * description : DevOps | ||
| 줄 8: | 줄 8: | ||
| ===== Intro ===== | ===== Intro ===== | ||
| - | **데브옵스(Devops)란? | + | ** 데브옵스(Devops)란? |
| - | *데브옵스(DevOps)는 개발(Development)과 운영(Operations)의 합성어 | + | * 데브옵스(DevOps)는 개발(Development)과 운영(Operations)의 합성어 |
| - | *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팀으로서 소통,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뜻 함. | + | * 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팀으로서 소통,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뜻 함. |
| {{: | {{: | ||
| ===== Case Study ===== | ===== Case Study ===== | ||
| - | ==== 데브옵스(DevOps)의 이해==== | + | ==== 데브옵스(DevOps)의 이해 ==== |
| - | *개발팀과 IT 운영팀의 작업에 대한 공유 방식으로 조직 내 여러 팀 간 의사소통과 협업을 활성화 시키는 운영 방식 | + | * 개발팀과 IT 운영팀의 작업에 대한 공유 방식으로 조직 내 여러 팀 간 의사소통과 협업을 활성화 시키는 운영 방식 |
| - | *개발팀과 IT 운영팀이 나누어져 있는 상황에서, | + | |
| - | *장점 | + | |
| - | -개발팀과 운영팀간의 의사소통 증가로 생산성이 증가 | + | 개발자와 운영자에 대한 구분과 불신이 나타나게 되고 이렇게 되면 |
| - | -한 곳에서 개발부터 검증, 배포까지 전체를 | + | |
| - | | + | |
| - | *단점 | + | |
| - | -다양한 팀이 모여 업무 역할이 변경되기 때문에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 | + | - 개발팀과 운영팀간의 의사소통 증가로 생산성이 증가 |
| - | -코드를 자주 배포할 필요가 없다면 비용만 늘어남 | + | - 한 곳에서 개발부터 검증, 배포까지 전체를 담당하게 되어 개발과 배포 속도가 빨라짐 |
| - | -포괄적인 자동화 도구가 필요함 | + | - 구성원에게 개발 책임감과 코드의 소유권을 높여줘 개발 프로세스 간소화 |
| + | |||
| + | | ||
| + | - 다양한 팀이 모여 업무 역할이 변경되기 때문에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 | ||
| + | - 코드를 자주 배포할 필요가 없다면 비용만 늘어남 | ||
| + | - 포괄적인 자동화 도구가 필요함 | ||
| \\ | \\ | ||
| __Devops는 도구가 아니라 일을 이렇게 하자는 방법론이지만 주요 구성 내용과 도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.__ | __Devops는 도구가 아니라 일을 이렇게 하자는 방법론이지만 주요 구성 내용과 도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.__ | ||
| 줄 75: | 줄 78: | ||
| 자동화된 규정 준수 정책 및 세분화된 제어 및 구성 관리 기술을 통하여 제어를 유지하고, | 자동화된 규정 준수 정책 및 세분화된 제어 및 구성 관리 기술을 통하여 제어를 유지하고, | ||
| 보안도 지켜 나아갈 수 있도록 하여준다. | 보안도 지켜 나아갈 수 있도록 하여준다. | ||
| - | ===== 데브옵스 VS 기존의 접근 방식===== | + | ==== 데브옵스 VS 기존의 접근 방식==== |
| ^DevOps 진행^기존의 접근 방식^ | ^DevOps 진행^기존의 접근 방식^ | ||
| |-- 협업 중심.\\ 성공적인 DevOps는 신속하고 신뢰성있는 소프트웨어의\\ 개발과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팀과 IT 운영팀의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협업 능력에 의존한다.|-- 사일로 중심.\\ 기존의 접근 방식은 협업에 대해서는 “다짜고짜 떠넘기기”에 의존한다.\\ IT 운영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배포와 관리를 담당하며, | |-- 협업 중심.\\ 성공적인 DevOps는 신속하고 신뢰성있는 소프트웨어의\\ 개발과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팀과 IT 운영팀의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협업 능력에 의존한다.|-- 사일로 중심.\\ 기존의 접근 방식은 협업에 대해서는 “다짜고짜 떠넘기기”에 의존한다.\\ IT 운영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배포와 관리를 담당하며, | ||
| 줄 82: | 줄 85: | ||
| |-- 비즈니스 중심.\\ DevOps 조직은 공동으로 비즈니스 성공을 추진하는데 집중한다.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전달 성공에 대한 책임도 공동으로 집니다.|-- 기능 중심.\\ 기존의 접근 방식은 개발자와 IT 운영자가 그들 기능에 집중하되\\ 전체적인 성공에 대해서는 별다른 책임을 부여하지 않았습니다.\\ 그 결과 여러 에러 상황이 발생해 많은 비난을 받고 조직내에서 마찰이 발생합니다.| | |-- 비즈니스 중심.\\ DevOps 조직은 공동으로 비즈니스 성공을 추진하는데 집중한다.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전달 성공에 대한 책임도 공동으로 집니다.|-- 기능 중심.\\ 기존의 접근 방식은 개발자와 IT 운영자가 그들 기능에 집중하되\\ 전체적인 성공에 대해서는 별다른 책임을 부여하지 않았습니다.\\ 그 결과 여러 에러 상황이 발생해 많은 비난을 받고 조직내에서 마찰이 발생합니다.| | ||
| |-- 변경 맞춤형.\\ DevOps 진행은 신속하고 반복 가능하게 자동화하도록 디자인됩니다. 신속한 오류 복구뿐만 아니라 신속한 변경 처리도 수행하게 빌드됩니다.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빌드되는 것입니다.|-- 변경 반대.\\ 기존의 접근 방식에서는 손댔다가 빨리 복구할 수 없게 될까봐 프로덕션 배포를 변경하지 않습니다. 전통적인 접근 방식에서는 변경과 업데이트를 최소화하고 조직에게는 천천히 진행할 것을 간접적으로 권장합니다.| | |-- 변경 맞춤형.\\ DevOps 진행은 신속하고 반복 가능하게 자동화하도록 디자인됩니다. 신속한 오류 복구뿐만 아니라 신속한 변경 처리도 수행하게 빌드됩니다.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빌드되는 것입니다.|-- 변경 반대.\\ 기존의 접근 방식에서는 손댔다가 빨리 복구할 수 없게 될까봐 프로덕션 배포를 변경하지 않습니다. 전통적인 접근 방식에서는 변경과 업데이트를 최소화하고 조직에게는 천천히 진행할 것을 간접적으로 권장합니다.| | ||
| - | |||
| - | \\ | ||
| \\ | \\ | ||
| - | *[[wiki: | + | ===== DevOps와 관련된 내용 ===== |
| *[[wiki: | *[[wiki: | ||
| + | *[[wiki: | ||
| + | *[[wiki: | ||
| | | ||
| 줄 92: | 줄 95: | ||
| ===== Term ===== | ===== Term ===== | ||
| - | [[wiki: | + | *[[wiki: |
| + | *사일로 현상(Organizational Silos Effect): 조직 부서 간에 서로 협력하지 않고 내부 이익만을 추구하는 현상. | ||
| + | *프로비저닝(Provisioning): | ||
| + | *패리티(parity): | ||
| ===== Ref ===== | ===== Ref ===== | ||
| - | https:// | + | https:// |
| + | https:// | ||
| {{tag> | {{tag> | ||
| - | |||
| - | |||
| - | |||
| - | <do 2022-03-18 밤즌> | ||
| - | 이 페이지 초안 작성 부탁합니다. (다른 페이지를 보거나, 주위에 물어서요~~) | ||
| - | Convention과 Consensus가 중요해요 ) | ||
| - | </do> | 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