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wiki:pm:devops:cicd [2022/03/21 17:43] bjlee |
wiki:pm:devops:cicd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4: | 줄 4: | ||
===== 의미 ===== | ===== 의미 ===== | ||
- | * **1.CI**\\ | + | * **CI**\\ |
-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.\\ | -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.\\ | ||
-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,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repository에 통합되므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경우 서로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| -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,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repository에 통합되므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경우 서로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| ||
- | * **2.CD**\\ | + | * **CD**\\ |
-지속적인 제공(Continuous Delivery)이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변경 사항이 버그 테스트를 거쳐 repository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는 것을 뜻하며, 운영팀은 이 repository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할 수 있다. 이는 개발팀과 비즈니스팀 간의 가시성과 커뮤니케이션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준다. 또한 지속적인 제공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코드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\\ | -지속적인 제공(Continuous Delivery)이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변경 사항이 버그 테스트를 거쳐 repository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는 것을 뜻하며, 운영팀은 이 repository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할 수 있다. 이는 개발팀과 비즈니스팀 간의 가시성과 커뮤니케이션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준다. 또한 지속적인 제공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코드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\\ | ||
-지속적인 배포(Continuous Deployment)란 개발자의 변경 사항을 repository에서 고객이 사용 가능한 프로덕션 환경까지 자동으로 release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속도를 저해하는 수동 프로세스로 인한 운영팀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. | -지속적인 배포(Continuous Deployment)란 개발자의 변경 사항을 repository에서 고객이 사용 가능한 프로덕션 환경까지 자동으로 release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속도를 저해하는 수동 프로세스로 인한 운영팀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