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pm:devops:cicd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wiki:pm:devops:cicd [2022/03/21 14:30]
bjlee [용어]
wiki:pm:devops:cicd [2023/01/13 18:44] (현재)
줄 4: 줄 4:
  
 ===== 의미 ===== ===== 의미 =====
-  * **1.CI**\\+  * **CI**\\
     -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.\\     -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.\\
     -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,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repository에 통합되므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경우 서로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     -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,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repository에 통합되므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경우 서로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  
  
-  * **2.CD**\\+  * **CD**\\
     -지속적인 제공(Continuous Delivery)이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변경 사항이 버그 테스트를 거쳐 repository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는 것을 뜻하며, 운영팀은 이 repository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할 수 있다. 이는 개발팀과 비즈니스팀 간의 가시성과 커뮤니케이션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준다. 또한 지속적인 제공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코드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\\     -지속적인 제공(Continuous Delivery)이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변경 사항이 버그 테스트를 거쳐 repository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는 것을 뜻하며, 운영팀은 이 repository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할 수 있다. 이는 개발팀과 비즈니스팀 간의 가시성과 커뮤니케이션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준다. 또한 지속적인 제공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코드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\\
     -지속적인 배포(Continuous Deployment)란 개발자의 변경 사항을 repository에서 고객이 사용 가능한 프로덕션 환경까지 자동으로 release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속도를 저해하는 수동 프로세스로 인한 운영팀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.     -지속적인 배포(Continuous Deployment)란 개발자의 변경 사항을 repository에서 고객이 사용 가능한 프로덕션 환경까지 자동으로 release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속도를 저해하는 수동 프로세스로 인한 운영팀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.
  
 ===== Ref ===== ===== Ref =====
-[[https://dev-jacob.tistory.com/entry/%EB%8D%B0%EB%B8%8C%EC%98%B5%EC%8A%A4DevOps%EB%9E%80]]+[[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devops/what-is-ci-cd]]
  
/volume1/web/dokuwiki/data/attic/wiki/pm/devops/cicd.1647840640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2/03/21 14:30 저자 bjle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