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|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|
wiki:os:linux:리눅스에서_자주_사용하는_명령어 [2020/04/22 14:22] hylee |
wiki:os:linux:리눅스에서_자주_사용하는_명령어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|---|---|---|---|
| 줄 25: | 줄 25: | ||
| </ | </ | ||
| > | > | ||
| + | |||
| + | 파일 사이즈가 0인 목록 가져오기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[www@www tmp]$ find ./ -type ' | ||
| + | or | ||
| + | [www@www tmp]$ find ./ -type '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파일 사이즈가 0인 파일 제거하기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[www@www tmp]$ find ./ -type f -size 0 -exec rm -f {} \; | ||
| + | or | ||
| + | [www@www tmp]$ find ./ -type f -size 0 | xargs rm -f | ||
| + | or | ||
| + | [www@www tmp]$ find ./ -type f -size 0 -delete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[[https:// | ||
| ===== du ===== | ===== du ===== | ||
| 줄 62: | 줄 80: | ||
| ===== tar ===== | ===== tar ===== | ||
| - | * 리눅스 압축하기 | + | 리눅스 압축하기 |
| <code bash> | <code bash> | ||
| [www@www tmp]$ tar fczvh search.tar.gz search | [www@www tmp]$ tar fczvh search.tar.gz search | ||
| </ | </ | ||
| > f: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, c: tar 아카이브 생성, z: gzip 압축 적용, v: 처리되는 View 출력, h(선택사항): | > f: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, c: tar 아카이브 생성, z: gzip 압축 적용, v: 처리되는 View 출력, h(선택사항): | ||
| - | <WRAP clear/> | + | \\ |
| - | + | 압축파일에서 특정파일만 압축 풀기 | |
| - | * 압축파일에서 특정파일만 압축 풀기 | + | |
| - | | + | |
| <code bash> | <code bash> | ||
| [www@www tmp]$ tar tvfz archive.tar.gz | [www@www tmp]$ tar tvfz archive.tar.gz | ||
| </ | </ | ||
| > t: tar 파일의 List 출력, v: 파일들의 이름과 크기 표시, f: 강제, z: 압축을 해제하면서 | > t: tar 파일의 List 출력, v: 파일들의 이름과 크기 표시, f: 강제, z: 압축을 해제하면서 | ||
| - | <WRAP clear/> | + | \\ |
| - | + | 특정한 파일 풀기 | |
| - | * 특정한 파일 풀기 | + | |
| <code bash> | <code bash> | ||
| [www@www tmp]$ tar xvfzp archive.tar.gz 디렉토리/ | [www@www tmp]$ tar xvfzp archive.tar.gz 디렉토리/ | ||
| </ | </ | ||
| > 디렉토리/ | > 디렉토리/ | ||
| + | \\ | ||
| + | 특정 내용 제외하고 압축하기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[www@www tmp]$ tar cvfz front_changwon.tar.gz front --exclude " | ||
| + | </ | ||
| + | \\ | ||
| - | <WRAP clear/> | + | ===== top ===== |
| + | 시스템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는 명령어(CPU, | ||
| + | *top 실행 전 옵션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[www@www tmp]$ top -b // 순간적인 정보 확인 | ||
| + | [www@www tmp]$ top -n // top 실행 주기 설정(반복 횟수) | ||
| + | [www@www tmp]$ top -d [sec] // 설정된 초단위로 Refresh | ||
| + | [www@www tmp]$ top -c // command뒤에 인자값 표시 | ||
| + | </ | ||
| + | |||
| + | ===== lsof ===== | ||
| + | list open files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열린 파일목록을 알려주고 사용하는 프로세스, | ||
| + | |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$ lsof | ||
| + | |||
| + | COMMAND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init | ||
| + | </ | ||
| + | 컬럼별 의미는 다음과 같다. | ||
| + | * COMMAND : 실행한 명령어 | ||
| + | * PID : process id | ||
| + | * USER : 실행한 사용자 | ||
| + | * FD: File Descriptor, 파일의 종류 | ||
| + | * TYPE : 파일 종류 | ||
| + | * DEVICE : 장치번호 | ||
| + | * SIZE/OFF : 파일의 크기나 오프셋 | ||
| + | * NODE : 노드번호 | ||
| + | * NAME : 파일명 | ||
| + | |||
| + | -i 옵션을 사용하여 IPv4 또는 IPv6 포트만 표시할수 있다. | ||
| + | <code bash> | ||
| + | $ lsof -i 4 | ||
| + | |||
| + | COMMAND | ||
| + | rpcbind | ||
| + | rpcbind | ||
| + | rpcbind | ||
| + | rpc.statd 1086 rpcuser | ||
| + | rpc.statd 1086 rpcuser | ||
| + | rpc.statd 1086 rpcuser | ||
| + | cupsd | ||
| + | </ | ||
| ===== Ref ===== | ===== Ref ===== | ||
| * [[https:// | * [[https:// | ||
| + | * [[https:// | ||
| - | {{tag> | + | {{tag>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