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os:알아두면_유용한_리눅스_명령어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wiki:os:알아두면_유용한_리눅스_명령어 [2022/12/14 17:51]
hgkim [wc 사용법(wc [옵션] [파일이름])]
wiki:os:알아두면_유용한_리눅스_명령어 [2023/01/13 18:44] (현재)
줄 338: 줄 338:
 =====split 사용법(split [옵션] [파일이름] [분할된 분할 파일 이름_])===== =====split 사용법(split [옵션] [파일이름] [분할된 분할 파일 이름_])=====
   * 큰파일을 여러 작은 파일로 나눌때 사용한다. 로그가 계속 쌓여 커지는 환경에서 파일을 분리해주는 SPLIT 명령어는 유용!!   * 큰파일을 여러 작은 파일로 나눌때 사용한다. 로그가 계속 쌓여 커지는 환경에서 파일을 분리해주는 SPLIT 명령어는 유용!!
-  * - 명령어 및 옵션 종류와 사용예 
  
 ^  옵션                ^  옵션 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명령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명령어 결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^ ^  옵션                ^  옵션 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명령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명령어 결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^
줄 352: 줄 351:
 =====man 사용법(man [옵션] [섹션번호] command)===== =====man 사용법(man [옵션] [섹션번호] command)=====
   * 각종 명령어, 프로그램의 사용법(매뉴얼)을 확인을 위한 명령어   * 각종 명령어, 프로그램의 사용법(매뉴얼)을 확인을 위한 명령어
-  * 주요 옵션과 사용예+ 
  
 ^  옵션 및 섹션  ^  옵션 및 섹션 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^ ^  옵션 및 섹션  ^  옵션 및 섹션 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^
줄 377: 줄 376:
   * - 세부 정보 필드별 항목   * - 세부 정보 필드별 항목
  
-^ 필드 ^ 역할 ^ 필드 ^ 역할 ^ + 필드   역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필드     역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PID | 프로세스 ID (PID) | SHR | 분할된 페이지,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 | +| PID    | 프로세스 ID (PID)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SHR      | 분할된 페이지,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                
-| USER |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 | S | 프로세스의 상태 [ S(sleeping), R(running), W(swapped out process), Z(zombies) ] | +| USER   |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S        | 프로세스의 상태 [ S(sleeping), R(running), W(swapped out process), Z(zombies) ]  
-| PRI |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(priority) | %CPU |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 | +| PRI    |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(priority)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%CPU     |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NI | NICE 값. 일의 nice value값.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 | %MEM |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 | +| NI     | NICE 값. 일의 nice value값.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  | %MEM     |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VIRT |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(SWAP+RES) | TIME+ | 프로세스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시간 | +| VIRT   |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(SWAP+RES)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TIME+    | 프로세스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시간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RES |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 | COMMAND | 실행된 명령어 |+| RES    |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COMMAND  | 실행된 명령어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 
 * top 실행 후 사용할 수 있는 옵션 * top 실행 후 사용할 수 있는 옵션
  
-^ 옵션 ^ 의미 ^ 옵션 ^ 의미 + 옵션       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옵션       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shift + t | :실행된 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 | -P | 지정된 프로세스 ID들만 보여줌 | +| shift + t  | :실행된 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   | -P         | 지정된 프로세스 ID들만 보여줌                
-| shift + m |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 | -i | 좀비(zombie) 또는 Idle 상태의 것들은 무시됨 | +| shift + m  |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  | -i         | 좀비(zombie) 또는 Idle 상태의 것들은 무시됨  
-| shift + p |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 | space bar | 새로고침 | +| shift + p  |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     | space bar  | 새로고침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k | Process 종료 +
-    o k 입력 후 종료할 PID를 입력 +
-    o signal을 입력하라 표시되면 9를 넣어줌 | d[sec] | 설정된 초단위로 Refresh | +
-    +
 =====ssh 사용법===== =====ssh 사용법=====
-  *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셸로 원격 접속을 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CLI 상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, 기본 포트는 22번+  *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 
 +  * 셸로 원격 접속을 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CLI 상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, 기본 포트는 22번
   * 주요 기능과 특징   * 주요 기능과 특징
     * 보안 접속을 통한 rsh, rcp, rlogin, rexec, telnet, ftp 등을 제공     * 보안 접속을 통한 rsh, rcp, rlogin, rexec, telnet, ftp 등을 제공
줄 404: 줄 401:
   * 주요 명령어와 사용예   * 주요 명령어와 사용예
  
-^ 명령어 ^ 명령어 역할 ^ + 명령어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명령어 역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ssh [호스트명 or ip주소] | ssh를 사용할 때 현재 사용중인 계정으로 다른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게 됨 | +| ssh [호스트명 or ip주소]   | ssh를 사용할 때 현재 사용중인 계정으로 다른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하게 됨  
-| ssh [계정명]@[호스트이름] |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계정이 다를 때 계정이름을 명기하는 방법임 | +| ssh [계정명]@[호스트이름]  |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계정이 다를 때 계정이름을 명기하는 방법임            
-| ssh 호스트네임 명령 | 원격으로 서버의 프로그램만 사용할 때, 접속하진 않고 명령만 내릴때 사용 | +| ssh 호스트네임 명령        | 원격으로 서버의 프로그램만 사용할 때, 접속하진 않고 명령만 내릴때 사용   
-| ssh user@192.168.1.10 | user라는 계정으로 192.168.1.10 서버에 접속을 시도 | +| ssh user@192.168.1.10      | user라는 계정으로 192.168.1.10 서버에 접속을 시도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ssh -p 180 192.168.1.10 | 기본포트는 22번 이지만 180번 포트로 192.168.1.10 서버에 접속을 시도 | +| ssh -p 180 192.168.1.10    | 기본포트는 22번 이지만 180번 포트로 192.168.1.10 서버에 접속을 시도      
-sftp://other@192.168.2.20/tmp/test other계정으로 192.168.2.20 서버에 접속해서 /tmp/test 파일을 가져오기 | +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-    | scp /tmp/test 192.168.2.20:/tmp/aaa | 192.168.2.20 서버에 있는 aaa 파일을 클라이언트 측에 /tmp/test 이름으로 복사 |+
  
 =====sftp 사용법===== =====sftp 사용법=====
   * FTP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 안에 내용물은 SSH를 이용해서 연결을 하는 것이 바로 sftp   * FTP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 안에 내용물은 SSH를 이용해서 연결을 하는 것이 바로 sftp
-  * 주요 옵션과 사용예 +    
 ^ 명령어 ^ 명령어 의미 ^ ^ 명령어 ^ 명령어 의미 ^
 | sftp [계정명]@[ip주소][파일경로] | 서버에 해당 계정을 이용해 파일을 클라이언트 측으로 가져오기 가능 | | sftp [계정명]@[ip주소][파일경로] | 서버에 해당 계정을 이용해 파일을 클라이언트 측으로 가져오기 가능 |
줄 427: 줄 422:
 =====scp 사용법===== =====scp 사용법=====
   *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 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   *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 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
-  * 주요 명령어와 사용예 +     
- + 명령어   명령어 의미  ^
- ^ 명령어 ^ 명령어 의미 ^+
 | scp [복사될 파일명][원격지id]:[원격지_ip]:[받는위치] |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scp를 이용해 원격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기능 | | scp [복사될 파일명][원격지id]:[원격지_ip]:[받는위치] |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scp를 이용해 원격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기능 |
 | scp [옵션] [디렉터리 이름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보낼 경로] | 여러 파일을 포함한 디렉터리를 원격지로 보낼 때 | | scp [옵션] [디렉터리 이름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보낼 경로] | 여러 파일을 포함한 디렉터리를 원격지로 보낼 때 |
 +
 +^  옵션        옵션 역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옵션 명령어 예    ^
 +| r           |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/디렉토리 복사  | scp -r             |
 +| p (소문자)  | 원본 권한 속성 유지 복사             | scp -p             |
 +| P (대문자)  | 포트 번호 지정 복사                  | scp -P [포트번호]  |
 +| c (소문자)  | 압축 복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scp -c             |
 +| v           | 과정 출력 복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scp -v             |
 +| a           | 아카이브 모드 복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scp -a             |
  
 =====telnet 사용법 - telnet [옵션] [호스트IP] [포트]===== =====telnet 사용법 - telnet [옵션] [호스트IP] [포트]=====
   * 원격으로 호스트에 접속을 하기 위한 명령어   * 원격으로 호스트에 접속을 하기 위한 명령어
-  * 주요 옵션과 사용예 + 
-     +^  telnet 전용모드 명령어   의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^ 
-telnet 명령어 | 명령어 역할 | +| close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현재 telnet연결을 종료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close | 현재 telnet연결을 종료 | +| logout 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원격 접속된 사용자를 강제 로그아웃하고 연결을 종료  
-| logout | 원격 접속된 사용자를 강제 로그아웃하고 연결을 종료 | +| open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원격서버로 연결을 시도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open | 원격서버로 연결을 시도 | +| send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특수문자를 전송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send | 특수문자를 전송 | +| display                  | 텔넷 환경인수들을 출력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display | 텔넷 환경인수들을 출력 | +| set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텔넷 환경인수들을 설정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set | 텔넷 환경인수들을 설정 | +| unset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텔넷 환경인수들의 설정을 해제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unset | 텔넷 환경인수들의 설정을 해제 | +| status 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현재 상황정보를 출력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status | 현재 상황정보를 출력 | +| !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 서브쉘을 불러들여 실행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-| ! | 서브쉘을 불러들여 실행 | +| environ                  | 환경변수를 변경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-| environ | 환경변수를 변경 | +| quit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 텔넷을 종료하고 쉘로 빠져나오기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|
-| quit | 텔넷을 종료하고 쉘로 빠져나오기 |+
  
 =====curl(client url) 사용법 - curl [options...] <url>===== =====curl(client url) 사용법 - curl [options...] <url>=====
-  * **URL 로 데이터를 전송**하여 **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때** 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 +  * URL 로 데이터를 전송하여 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때 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
-  * 주요 옵션과 사용예 +
- +
-^ short ^ long ^ 설명 ^ +
-| -k | --insecure | 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 | +
-| -l | --head | 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 | +
-| -L | --location | HTTP 301(영구적 주소변경), 302(일시적 주소변경) 응답을 받은 경우 리디렉션 URL로 따라감 --max-redirs 옵션 뒤에 숫자로 몇 번의 리디렉션까지 따라갈 것인지를 적을 수 있음 | +
-| -d | --data | HTTP POST 요청 데이터 입력 | +
-| -v | --verbose | 동작하면서 세세한 내용을 출력 | +
-| -J | --remote-header-name | 헤더에 있는 파일 이름으로 다운로드 파일을 저장 | +
-| -o | --output FILE | curl로 받아온 내용을 FILE 이라는 이름의 파일로 저장 | +
-| -v | --verbose | 동작하면서 자세한 헤더 통신 옵션을 출력 | +
-| -C | --continue-at | 파일 다운로드 재개 |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- +
  
 +- 주요 옵션과 사용예
  
 +^  short  ^  long                  설명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^
 +| -k      | --insecure            | 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 +| -l      | --head                | 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+| -L      | --location            | HTTP 301(영구적 주소변경), 302(일시적 주소변경) 응답을 받은 경우 리디렉션 URL로 따라감 --max-redirs 옵션 뒤에 숫자로 몇 번의 리디렉션까지 따라갈 것인지를 적을 수 있음  |
 +| -d      | --data                | HTTP POST 요청 데이터 입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 +| -v      | --verbose             | 동작하면서 세세한 내용을 출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+| -J      | --remote-header-name  | 헤더에 있는 파일 이름으로 다운로드 파일을 저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 +| -o      | --output FILE         | curl로 받아온 내용을 FILE 이라는 이름의 파일로 저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+| -v      | --verbose             | 동작하면서 자세한 헤더 통신 옵션을 출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+| -C      | --continue-at         | 파일 다운로드 재개     
 +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|
  
 +{{tag>치킨5분컷 리눅스_명령어}}
  
-{{tag>치킨5분컷 리눅스_명령어 명령어 모음}} 
/volume1/web/dokuwiki/data/attic/wiki/os/알아두면_유용한_리눅스_명령어.1671007896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2/12/14 17:51 저자 hgki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