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wiki:java:junit [2020/09/08 17:48] dhan |
wiki:java:junit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8: | 줄 8: | ||
===== JUnit ===== | ===== JUnit ===== | ||
- | [[[[wiki: | + | [[wiki: |
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입니다. \\ |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입니다. \\ | ||
+ | [[wiki: | ||
+ | |||
+ | ===== 동작 순서(토비 스프링3) ===== | ||
+ | - 테스트 클래스에서 @Test가 붙은 public이고 void형이며 파라미터가 없는 테스트 메소드를 모두 찾는다. | ||
+ | - 테스트 클랙스의 오브젝트를 하나 만든다. | ||
+ | - @Before가 붙은 메소드가 있으면 실행한다. | ||
+ | - @Test가 붙은 메소드를 하나 호출하고 테스트 결과를 저장해둔다. | ||
+ | - @After가 붙은 메소드가 잇으면 실행한다. | ||
+ | - 나머지 테스트 메소드에 대해 2~5번을 반복한다. | ||
+ | - 모든 테스트의 결과를 종합해서 돌려준다. | ||
\\ | \\ | ||
줄 39: | 줄 49: | ||
* 빨간 막대는 error가 있다는 표시 | * 빨간 막대는 error가 있다는 표시 | ||
* error 없으면 녹색표시 | * error 없으면 녹색표시 | ||
- | |||
- | |||
- | |||
\\ | \\ | ||
줄 52: | 줄 59: | ||
\\ | \\ | ||
===== Annotation ===== | ===== Annotation ===== | ||
- | ^ | + | ^ |
- | | | + | | @Test | 해당 Method는 Test대상 메소드임을 의미한다. |
+ | | @BeforeClass | ||
+ | | @AfterClass | ||
+ | | @Before | ||
+ | | @After | ||
+ | | @Ignore | ||
+ | |||
+ | ===== Assert ===== | ||
+ | 단언 | ||
+ | ^ assert method | ||
+ | | assertNull(value); | ||
+ | | assertNotNull(value); | ||
+ | | assertTrue(value); | ||
+ | | assertTrue(1 > 3); | assertThat(1, | ||
+ | | assertTrue(“abc”.contains(“d”)); | ||
+ | | assertFalse(value); | ||
+ | | assertEquals(“expected”, | ||
+ | | assertArrayEquals(new String[]{“test1”, | ||
+ | | assertSame(expected, | ||
+ | | assertNotSame(expected, | ||
+ | | assertThat \\ * 부동 소수점 비교\\ | ||
+ | | 정적 임포트 사용\\ | 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