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eclipse:resin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다음 판
이전 판
wiki:eclipse:resin [2020/06/04 10:03]
dhan 만듦
wiki:eclipse:resin [2023/01/13 18:44] (현재)
줄 7: 줄 7:
 </WRAP> </WRAP>
 <WRAP clear/> <WRAP clear/>
 +
 +===== Eclipse(Photon(4.8) 이상) 연동 방법 =====
 +1. resin 다운로드 \\
 +[[https://caucho.com/products/resin/download|resin download]] \\
 +Resin Pro 4.0.x를 OS에 맞게 다운로드 합니다. \\
 +\\
 +2. resin 압축 해제 \\
 +Tip: 컴퓨터내에 WAS 폴더를 지정하여 모아 둡니다. (jboss, tomcat, weblogic, jeus, resin, ...) \\
 +{{:wiki:eclipse:resin:resin_pro_4.0.62.png?direct&400|}} \\
 +\\
 +3. eclipse 서버 추가 \\ 
 +3.1 Window > Preferences -> Server > Runtime Environments 차례로 클릭합니다. \\
 +{{:wiki:eclipse:resin:server_runtime_environment.png?direct&600|}} \\
 +3.2 __A__dd...를 클릭합니다. \\
 +{{:wiki:eclipse:resin:server_runtime_environment_add.png?direct&600|}} \\
 +3.3 Regin > Resin (Java EE Web Profile) Server > Next \\
 +> Next 누르면 5분정도 소요 됩니다.
 +당연히 I __a__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 Click & Finish \\
 +{{:wiki:eclipse:resin:resin_license.png?direct&600|}} \\
 +> Finish 누른 후 위 사진처럼 안뜨면 뒤에서 돌고 있기 때문에 아래 초록색 Progress 를 확인하면 install 중인걸 알 수 있습니다.
 +Install, Restart ... \\
 +{{:wiki:eclipse:resin:resin_install.png?direct&600|}} -> {{:wiki:eclipse:resin:eclipse_restart.png?direct&581|}} \\
 +3.4 Window > Preferences -> Server > Runtime Environments > Add 차례로 클릭하면 Resin 4.0 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\\
 +__C__reate a new local server 체크한 후 Next 클릭 \\
 +{{:wiki:eclipse:resin:server_runtime_environment_new_server.png?direct&600|}} \\
 +3.5 JRE와 2번에서 설치한 경로 지정 후 Next 클릭 \\
 +{{:wiki:eclipse:resin:server_runtime_environment_new_server_resin.png?direct&600|}} \\
 +3.6 Apply for the free development license [enables 'Pro' features) 체크하고, 메일주소와 이름, 추가 프로젝트 체크한 후 Next 클릭 \\
 +{{:wiki:eclipse:resin:resin_license_detail.png?direct&600|}} \\
 +3.7 Resin Configuring & Finish 클릭 \\
 +{{:wiki:eclipse:resin:resin_configuring.png?direct&600|}} \\
 +3.8 추가가 되었으며, Apply and Close 클릭 \\
 +{{:wiki:eclipse:resin:server_runtime_environment_complete.png?direct&600|}} \\
 +3.9 Dyanmic Web Project를 선택하여 Run As > Run on Server 클릭하면 Resin이 보이면 성공입니다. \\
 +{{:wiki:eclipse:resin:dynamic_web_projuct_runasserver.png?direct&600|}} \\
  
 ===== Jndi 설정법 ===== ===== Jndi 설정법 =====
-jndi(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)+jndi(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) 설정 %%//%% Was Server 마다 넣는 위치와 포맷이 다름
  
 <code xml> <code xml>
줄 64: 줄 99:
 </database> </database>
 </code> </code>
 +\\ 
 +사용 예시
 <code java> <code java>
 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%> 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%>
줄 107: 줄 143:
 ===== Ref ===== ===== Ref =====
 [[https://m.blog.naver.com/malgnsoft/10140362786|레진(Resin)에서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]] \\ [[https://m.blog.naver.com/malgnsoft/10140362786|레진(Resin)에서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]] \\
 +[[https://pearlstyle.tistory.com/37|Java+Resin+Eclipse = JSP 개발환경 만들기]] \\
  
-{{tag>주레피 }}+{{tag>주레피 도봉산핵주먹}}
/volume1/web/dokuwiki/data/attic/wiki/eclipse/resin.1591232633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2/03/10 19:52 (바깥 편집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