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다음 판 | 이전 판 | ||
wiki:css:css_note:css와_박스모델 [2021/03/02 13:28] emblim98 만듦 |
wiki:css:css_note:css와_박스모델 [2023/01/13 18:44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- | ====== | + | ====== |
<WRAP left notice 80%> | <WRAP left notice 80%> | ||
* description : CSS와 박스 모델 | * description : CSS와 박스 모델 | ||
줄 9: | 줄 9: | ||
\\ | \\ | ||
====Source of the article==== | ====Source of the article==== | ||
- | * "Do it! HTML5 + CSS3 웹표준의 정석" | + | * "Do it! HTML5 + CSS3 웹표준의 정석" |
+ | * [[https:// | ||
\\ | \\ | ||
+ | * 모든 HTML요소들은 박스로 여겨질 수 있다. | ||
+ | * CSS에서,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언급할 때 **" | ||
+ | * CSS 박스모델은 기본적으로 모든 HTML요소들을 감싸는 박스이다. CSS 박스모델은 마진 (margins), 보더 (borders), 패딩 (padding), 그리고 실제 콘텐츠로 구성된다. | ||
\\ | \\ | ||
- | ====HTML이란?==== | + | ====박스모델(box model)-박스 형태의 콘텐츠==== |
- | | + | {{: |
- | *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이다. | + | |
- | *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를 | + | * 패딩 (Padding) : 콘텐츠 |
- | | + | |
- | * HTML요소들은 브라우저에게 내용을 보여주는 방법을 알려준다. | + | |
- | * HTML요소들은 제목, 문장, 링크와 같은 내용 부분들을 구별하여 | + | |
- | ====A Simple HTML Document==== | + | |
- | < | + | |
- | < | + | |
- | < | + | |
- | < | + | |
- | < | + | |
- | </ | + | |
- | < | + | |
- | | + | |
- | | + | |
- | </ | + | |
- | </ | + | |
- | </ | + | |
- | ====HTML Element==== | + | |
- | HTML요소는 시작태그 | + | |
- | ===< | + | |
- | HTML요소는 시작태그에서부터 종료태그까지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.\\ | + | |
- | ===< | + | |
- | ===< | + | |
- | ^ Start tag ^ Element content | + | |
- | | < | + | |
- | | < | + | |
- | | < | + | |
\\ | \\ | ||
- | ☝일부 HTML요소들은 < | + | ====콘텐츠 영역의 크기==== |
+ | 박스모델에서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지정할 때는 너비를 지정하는 width속성과 높이를 지정하는 height속성을 사용한다. | ||
+ | ^ 속성 값 ^ 설명 | ||
+ | ^ < | ||
+ | ^ < | ||
+ | ^ auto | 박스 모델의 너비와 높이 값이 콘텐츠 양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다. 기본 값이다. | | ||
+ | =====CSS Layout - The display Property===== | ||
+ | **'' | ||
+ | \\ | ||
+ | ====The display Property==== | ||
+ | * **'' | ||
+ | * 모든 HTML 요소는 요소의 타입이 무엇인지에 따라 기본 display 값을 가지고 있다. 대부분 요소들의 기본 display값은 **'' | ||
+ | \\ | ||
+ | ====Block-level Elements (블록 레벨 요소)==== | ||
+ | * 기본 너비 값: 100% --> 블록 레벨 요소는 항상 새 줄에서 시작하고 가능한 전체 너비를 차지한다.(최대한 우측, 좌측으로 펼쳐진다) | ||
+ | * 태그를 사용해 요소를 삽입했을 때 혼자 한 줄을 차지하는 요소이다. | ||
+ | * 한 줄을 차지한다는 것은 해당 요소의 너비가 100%이라는 의미이다. | ||
+ | * 따라서 한 줄에 하나만 배치 | ||
+ | * 너비 값, 높이 값을 가질 수 있다. 상하마진을 가질 수 있다. | ||
+ | |||
+ | \\ | ||
+ | ====Inline Elements (인라인 요소)==== | ||
+ | * 기본 너비 값 : 콘텐츠의 너비 값 | ||
+ | * 줄을 차지하지 않는 요소이다 --> 한 줄에 여러 개를 배치할 수 있다. | ||
+ | * 한 줄에 여러 개의 인라인 레벨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. | ||
+ | * 크기 값을 가질 수 없다. 상하마진을 가질 수 없다. | ||
+ | \\ | ||
+ | ====Inline Block Elements (인라인 블록 요소)==== | ||
+ | * 요소를 인라인 레벨로 배치하면서 내용에는 블록 레벨 속성을 지정하고 싶을 때 사용 | ||
+ | * 기본 너비 값 : 콘텐츠의 너비 값 | ||
+ | * 한 줄에 여러 개 배치 | ||
+ | * 크기 값, 상하마진을 가질 수 있다. | ||
+ | \\ | ||
+ | ===블록 레벨 태그 vs 인라인 레벨 태그=== | ||
+ | ^ 종류 | ||
+ | ^ 블록 레벨 태그 | ||
+ | ^ 인라인 레벨 태그 | ||
+ | \\ | ||
+ | ==== ==== | ||
+ | * 블록 레벨, 인라인 레벨, 인라인 블록 레벨 비교 사진 올려야 한다. | ||
- | |||
{{tag> | {{tag> |